○ 동도금현상 -동관, 프레온냉매 사용 시 발생하는 현상이다. -장치 내에 물이 혼입되면 프레온냉매와 반응하여 가수분해되고 산을 생성한다. -산은 동과 반응하여 염화동을 생성한다. -염화동은 고온부(실린더 내벽, 피스톤, 밸브 등)에 부착된다. -수소원자가 많거나 온도가 높을수록 더 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 압력 조정밸브 -증발압력 조정밸브(E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증발기 출구측에 부착한다. 증발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흡입압력 조절밸브(S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압축기 입구측에 부착한다. 흡입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는것을 방지한다. -응축압력 조정밸브(CPR): 압축기 토출가스 배관과 수액기 사이에 설치한다. 응축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1) 우리나라 경제의 발전 ① 60년대 이후 정부의 지원으로 중화학공업정책과 수출 드라이브가 실행되었다. ② 80년대 초반 3저현상(저금리, 원화의 약세, 저유가)으로 인해 무역이 활발해졌다. ③ 산업별, 지역별, 계층별 형평이 고려되지 않아 양극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2) 경제가 생겨난 이유 ① 한정된 자원 ② 인간의 무한한 욕망 자원은 한정되어있는데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정인 배분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경제문제를 어떻게,무엇을,누구를위해 이 세 가지를 중점으로 해결해 나가야 하는데, 그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자원배분의 과정이라 한다. 3) 경제체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이 둘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3가지 요소가 있다. ① 사유재산 소유 ② 개인이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상당외기온도란? 외부에서 침입하는 열량은 외부공기 뿐만 아니라 일사량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 일사량을 고려한 외기온도가 상당외기온도이다. 상당외기온도 공식은 사진에 있듯이 이렇다. 상당외기온도 = 외기온도 + 외벽의흡수율 × 일사량 ÷ 외기의 열전달율 공식의 유도를 해보자. 외기로부터의 침입 열량 Q = (J × A × b) + (a × A × △T) 이다. J : 일사량 (kcal/m2h) A : 벽의 면적 (m2) b : 외벽의흡수율 a : 외기의 열전달율 △T : 외기온도 - 벽체온도 이 식을 정리하면 전달열량 = 외기의열전달율 × 외벽의면적 × ( 상당외기온도 - 벽면의온도 ) 가 나온다.
습공기선도를 사용하지 않고 노점온도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위키백과에서 보고 읽은 것을 이해해서 제가 다시 쓴 것입니다.| magnus 공식 노점온도 = [ b × { a×T ÷ (b+T) + lnRH } ] ÷ [ a - { a×T ÷ (b+T) + lnRH } ] b : 상수 a : 상수 T : 건구 온도 RH : 상대습도 이때, 상수값은 여러 기관에서 산출해낸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David Bolton 이라는 사람이 1980년대의 논문에 써낸 값을 적어드리겠습니다. a = 6.1121 b = 18.678
공조설비설계를 위해 부하를 계산할 때, 창문으로 들어오는 바람에 대한 부하계산이 필요하다. 이때, 들어오는 바람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이 3가지가 있다. 1) 틈새법 창문이나 문의 틈새의 길이를 측정해 구하는 방법 Q = B 골 2) 면적법 창문 이나 문의 면적을 기준으로 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공식은 이렇다. Q = A × i Q : 풍량 (m3/h) A : 창문의 면적 (m2) i : 창틀의 종류에 따른 단위면적당 통기량 (m3/hm2) 창틀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값에 창의 면적을 곱해주면 된다. 3) 환기횟수법 실의 용적에 의해 정해지는 값을 곱해준다. Q = n × V Q : 풍량 (m3/h) V : 실의 용적 (m3/h) n : 환기횟수 실의 용적에따라 환기횟수도 정해진다.
TAC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냉동기를 설계할 때 외기온도를 설정해야하는데, 1년중 가장 더운날을 기준으로 냉동기를 설계하면 냉동능력을 크게잡아야되고, 이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심하게 더운날 며칠은 계산에서 제외하고 계산해야한다. 예를들어, 기상청 통계를 이용해 여름철(6월~9월)의 온도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해보자. 이때 위에서 2.5%인 곳의 온도를 외기온도로 설정하고 냉동기를 설계하면 2.5%인 날에는 실내의 사람이 완전히 시원하지는 못하다는 뜻이다. 여기서 TAC위험률 = 2.5%가 되고 2.5%지점의 온도가 TAC온도가 된다. 사진은 난방일때를 기준으로 작성된 그래프이다. TAC2.5% 일때, 온도는 -9.5℃이므로 -9.5℃이하로온도가내려가면 난방기가 제..
1) 유효온도 (Effective Temperature , ET) 온도,습도,기류의 영향을 고려한 선도를 이용해 온도로 나타낸것. 건구온도 25℃ 습구온도 20℃ 풍속3.5m/s 이면 유효온도는 19℃를 나타낸다. 이 온도가 여름철에는 19~24℃, 겨울철에는 17~22℃사이에 있으면 쾌적한 공기상태라고 볼 수 있다. 35.8℃를 넘어가면 불쾌함을 느낄 수 있는 공기상태이다. 선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저온일 때에는 습도의 영향을 많이받고, 고온일때는 적게받는 단점이 있다. 2) 수정유효온도 (Corrected Effective Temperature , CET) 유효온도는 복사열을 고려하지 않았다. 태양의 복사열을 고려한 온열지표가 수정유효온도이다. 온도를 찾는 방법으로는 유효온도지표에서 건구온도대신 흑..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박토큰
-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 설계용 외기조건
- 내벽 결로 방지
- 설계용 내기조건
- 덕트 설계
- 탄산가스 함유율
- 최근 주가를 보면 단기적으로 오를듯
- 일산화탄소 허용 기준
- 꿀땅콩
- 무비블록
- 솔루엠
- 전력그리드
- 김경익
- 대수평균온도차
- 표준유효온도
- 난방도일
- 냉방도일
- 지텔프 문제유형
- 지텔프 모의고사
- #신유효온도
- 연료비 산출
- 유효온도
- 지텔프 공략
- PMV
- 습면보정계수
- 저위발열량
- 코일의 각종 수로 방식
- 수정유효온도
- 판도리티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