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조냉동

TAC 온도

환5 2019. 10. 10. 16:33
반응형

TAC (Technical Advisory Committee)

 

냉동기를 설계할 때 외기온도를 설정해야하는데, 1년중 가장 더운날을 기준으로 냉동기를 설계하면

냉동능력을 크게잡아야되고, 이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심하게 더운날 며칠은 계산에서 제외하고 계산해야한다.

예를들어, 기상청 통계를 이용해 여름철(6월~9월)의 온도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해보자.

             이때 위에서 2.5%인 곳의 온도를 외기온도로 설정하고 냉동기를 설계하면

              2.5%인 날에는 실내의 사람이 완전히 시원하지는 못하다는 뜻이다.

여기서 TAC위험률 = 2.5%가 되고 2.5%지점의 온도가 TAC온도가 된다.

출처는 happy8earth

 사진은 난방일때를 기준으로 작성된 그래프이다.

TAC2.5% 일때, 온도는 -9.5℃이므로 -9.5℃이하로온도가내려가면 난방기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는것이다.

반응형

'공조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용어와 기초  (0) 2019.10.21
상당외기온도 공식 유도  (0) 2019.10.12
노점온도 구하는 공식  (0) 2019.10.12
극간풍량 구하기  (0) 2019.10.10
실내온열지표  (0) 2019.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