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동도금현상
  -동관, 프레온냉매 사용 시 발생하는 현상이다.
  -장치 내에 물이 혼입되면 프레온냉매와 반응하여 가수분해되고 산을 생성한다.
  -산은 동과 반응하여 염화동을 생성한다.
  -염화동은 고온부(실린더 내벽, 피스톤, 밸브 등)에 부착된다.
  -수소원자가 많거나 온도가 높을수록 더 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 압력 조정밸브
  -증발압력 조정밸브(E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증발기 출구측에 부착한다. 증발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흡입압력 조절밸브(S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압축기 입구측에 부착한다. 흡입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는것을 방지한다.
  -응축압력 조정밸브(CPR): 압축기 토출가스 배관과 수액기 사이에 설치한다. 응축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 공기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현열부하(kJ/h) = p(kg/㎥) × Q(㎥/h) × C(kJ/kg·℃) × △T(℃) 
  -잠열부하(kJ/h) = p(kg/㎥) × Q(㎥/h) × C(kJ/kg× △x(kg/kg`)
 
 


 
 
○ 혼합점의 공기상태
  -공조기 토출공기와 외기의 혼합점의 공기상태를 구하기 위한 공식이다.

열평형식

  -외기: 1 / 토출: 2 / 혼합: 3 이라고 명시하였다.
  -p: 밀도 / Q: 송풍량
 
 


 
 
자유면적비
  -자유면적비는 취출·흡입구의 면적 대비 실제 공기가 이동하는 면적의 비율이다.

  -관련공식: Q(㎥/h) = A(㎡) × V(m/h) × R(자유면적비)
 
 


 
 
극간풍을 구하는 방법
  -환기횟수에 따른 방법:  Q(㎥/h) = n(회/h) × V(㎥) / V: 실의 용적
  -창 면적을 이용한 방법: Q(㎥/h) = A(㎡) × i(㎥/㎡·h) / i: 창틀의 종류에 따른 단위면적당 풍량
A: 실의 바닥면적

  -틈새의 길이를 이용한 방법: Q(㎥/h) = A(㎡) × B(㎥/㎡·h) / B: 창문에서 단위면적당 풍량
 
 


 
 
극간풍을 방지하는 방법
  -회전문을 설치한다.
  -에어커튼을 설치한다.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중문을 설치한다.
 
 


 
 
공기조화 선도 작도하기
  -문제에 명시된 수치를 이용해 실내외 공기상태를 선도에 표시한다.
  -혼합공기상태는 실내외공기상태를 잇는 선에 존재한다.
  -취출공기상태는 실내공기상태의 현열비선에 존재한다.

반응형

'공조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조냉동기계기사 과거 합격률  (0) 2023.08.06
경제학 용어와 기초  (0) 2019.10.21
상당외기온도 공식 유도  (0) 2019.10.12
노점온도 구하는 공식  (0) 2019.10.12
극간풍량 구하기  (0)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