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동도금현상
-동관, 프레온냉매 사용 시 발생하는 현상이다.
-장치 내에 물이 혼입되면 프레온냉매와 반응하여 가수분해되고 산을 생성한다.
-산은 동과 반응하여 염화동을 생성한다.
-염화동은 고온부(실린더 내벽, 피스톤, 밸브 등)에 부착된다.
-수소원자가 많거나 온도가 높을수록 더 잘 일어나는 현상이다.
○ 압력 조정밸브
-증발압력 조정밸브(E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증발기 출구측에 부착한다. 증발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흡입압력 조절밸브(SPR):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흡입관 중 압축기 입구측에 부착한다. 흡입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는것을 방지한다.
-응축압력 조정밸브(CPR): 압축기 토출가스 배관과 수액기 사이에 설치한다. 응축압력이 일정 이하가 되는것을 방지한다.
○ 공기의 현열부하와 잠열부하
-현열부하(kJ/h) = p(kg/㎥) × Q(㎥/h) × C(kJ/kg·℃) × △T(℃)
-잠열부하(kJ/h) = p(kg/㎥) × Q(㎥/h) × C(kJ/kg) × △x(kg/kg`)
○ 혼합점의 공기상태
-공조기 토출공기와 외기의 혼합점의 공기상태를 구하기 위한 공식이다.

-외기: 1 / 토출: 2 / 혼합: 3 이라고 명시하였다.
-p: 밀도 / Q: 송풍량
○ 자유면적비
-자유면적비는 취출·흡입구의 면적 대비 실제 공기가 이동하는 면적의 비율이다.

-관련공식: Q(㎥/h) = A(㎡) × V(m/h) × R(자유면적비)
○ 극간풍을 구하는 방법
-환기횟수에 따른 방법: Q(㎥/h) = n(회/h) × V(㎥) / V: 실의 용적
-창 면적을 이용한 방법: Q(㎥/h) = A(㎡) × i(㎥/㎡·h) / i: 창틀의 종류에 따른 단위면적당 풍량
A: 실의 바닥면적
-틈새의 길이를 이용한 방법: Q(㎥/h) = A(㎡) × B(㎥/㎡·h) / B: 창문에서 단위면적당 풍량
○ 극간풍을 방지하는 방법
-회전문을 설치한다.
-에어커튼을 설치한다.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중문을 설치한다.
○ 공기조화 선도 작도하기
-문제에 명시된 수치를 이용해 실내외 공기상태를 선도에 표시한다.
-혼합공기상태는 실내외공기상태를 잇는 선에 존재한다.
-취출공기상태는 실내공기상태의 현열비선에 존재한다.
'공조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조냉동기계기사 과거 합격률 (0) | 2023.08.06 |
---|---|
경제학 용어와 기초 (0) | 2019.10.21 |
상당외기온도 공식 유도 (0) | 2019.10.12 |
노점온도 구하는 공식 (0) | 2019.10.12 |
극간풍량 구하기 (0) | 2019.10.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수평균온도차
- 꿀땅콩
- 설계용 내기조건
- 지텔프 공략
- 저위발열량
-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 김경익
- 내벽 결로 방지
- 난방도일
- 연료비 산출
- 판도리티비
- #신유효온도
- 솔루엠
- 유효온도
- 전력그리드
- 지텔프 모의고사
- 설계용 외기조건
- 탄산가스 함유율
- PMV
- 수정유효온도
- 습면보정계수
- 덕트 설계
- 표준유효온도
- 일산화탄소 허용 기준
- 무비블록
- 냉방도일
- 최근 주가를 보면 단기적으로 오를듯
- 지텔프 문제유형
- 코일의 각종 수로 방식
- 코박토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