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일이란 일정 기간동안 기계가 처리한 온도값을 말한다.

예를들어  HD(Heating degree Day)18_15 라고 하면

            실내설정온도 18도씨에 난방개시온도 15도씨이다.

             11월에 15℃인 날로부터 1월달에 15℃이 되는 날까지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실제로는 저런모양이 안나오겠지만 대략적으로 저런 모양이 나온다.

             이때 대략적인 평균외기온도와 설정한 실내온도값의 차에 11월~1월까지의

             날짜를 곱해주면 도일이 나오게 된다.

도일 = 기간(day) × (설정 실내온도 - 평균외기온도)

 

 

 

이것을 이용하면 15도씨 이하로 온도가 떨어졌을때 작동하는 난방기의  그 기간동안 총 부하계산을 할 수 있다.

총 부하계산이 되면 연료비 산출이 가능하다.

 

 

문제

서울의 건물에 대하여 HD18_18을 적용시켜 난방 할 때 연간 연료비를 산출해보라.

 

1) 건물 구조체의 표면적, 구조체의 열관류율,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을 통해 난방부하를 구한다.

    난방부하의 단위는 kcal/h℃가 나오게 한다.

2) 난방부하에 서울의 HD18_18인 2868.8을 곱해주면 그 기간동안 처리해야 될 열량값이 나온다.

3) 열량값에 저위발열량값을 나눠준다.

4) 나눠준 값에 연료단가를 곱해준다.

-끝-

============================================================================저위발열량과 고위발열량 용어 설명

보일러에서 연료를 태우면 온도가 100℃이상 올라간다. 그러다 연료가 모두 연소되면 연소가스중의 수증기가 

응축되며 열을 방출한다. 그렇게 되면 열량계에서 측정한 값이 같이 올라가게 되는데 이는 연료가 순수하게 

방출한 열량값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수증기의 응축잠열을 열량계값에서 빼줘야한다.

열량계에서 측정한 값이 고위발열량

고위발열량값에서 응축잠열을 빼준 값이 저위발열량이다.

(저위발열량 = 고위발열량 - 수증기의 응축잠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