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덕트 설계 순서
1) 송풍량을 결정한다
송풍량 = 실내의 현열부하 ÷ (공기의비열 × 취출공기와 환기공기 온도차)
2) 취출,흡입구 위치를 결정한다.
3) 덕트의 경로를 설정한다.
간선,개별,환상등의 방식으로 설정한다.
4) 덕트 치수 결정
등속법,등압법,정압재취득법을 이용해 덕트마찰손실선도에서 덕트 치수를 구한다.
5) 송풍기 선정
송풍기 용량 = (덕트 전 구간에서의 압력손실) × (풍량) ÷ 102 ÷ 송풍기 정압효율
(2) 등속법, 등압법, 정압재취득법 이용 방법
1) 등압법
덕트마찰손실선도에서 마찰손실값을 정해놓고 나머지 값을 구하는 방법
2) 등속법
덕트마찰손실선도에서 풍속값을 정해놓고 나머지 값을 구하는 방법
3) 정압재취득법
각 구간의 속도를 구한 뒤 풍량과 풍속을 이용해 직경을 찾는 방법.
①풍량과 덕트상당길이(상당길이+직관길이)를 이용해 K(상수)값을 찾는다.
② K와 풍속1을 이용해 풍속2와 압력을 구한다.
풍속1은 (풍량) ÷ (덕트 내부 넓이)
③ 풍량과 w2를 이용해서 각 구간의 내경을 구한다.
(3) 송풍기 선정
송풍기를 선정하기 위해서 송풍기 동력을 구해야 한다.
송풍기 용량 = (덕트 전 구간에서의 압력손실) × (풍량) ÷ 102 ÷ 송풍기 정압효율
인데, 여기서 풍량, 송풍기 정압효율은 알고 있으니 덕트 전 구간에서의 압력손실을 구해야 한다.
총 3가지 종류의 압력손실을 알면 된다.
① 직관덕트 압력손실
직관덕트 압력손실은 그냥 마찰손실선도에서 구한 P값에 덕트 길이를 곱해주면 된다.
② 국부압력손실
국부압력손실은 꺾이는 부분의 압력손실을 구하는것이다.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상당관길이를 구해서 P값에 곱해주거나 덕트국부저항손실 공식을 이용해서 구해주면 된다.


③ 기타등등(도입구, 에어필터, 취출구등등)
(4) 원형덕트, 장방형덕트 치수 환산하기
이 표를 이용해서 환산이 가능하다.
표가 없을경우 공식을 이용해서 환산이 가능하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 덕트 설계
- 꿀땅콩
- PMV
- 지텔프 문제유형
- 연료비 산출
- 코박토큰
- 일산화탄소 허용 기준
- 무비블록
- 최근 주가를 보면 단기적으로 오를듯
- 솔루엠
- 저위발열량
- 수정유효온도
- #신유효온도
- 코일의 각종 수로 방식
- 지텔프 공략
- 탄산가스 함유율
- 판도리티비
- 유효온도
- 설계용 내기조건
- 난방도일
- 대수평균온도차
- 내벽 결로 방지
- 냉방도일
- 설계용 외기조건
- 지텔프 모의고사
- 표준유효온도
- 전력그리드
- 습면보정계수
- 김경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