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코일의 각종 수로방식과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1) 코일 선정시 일반사항
1) 코일의 정면풍속은 2.0~3.0m/s로 한다. (온수코일의 경우 2.0~3.5m/s)
냉수코일의 풍속이 2.5를 초과할 경우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한다.
2) 관내의 유속은 1.0m/s 전후로 둔다.
3) 공기와 물의 방향은 대항류로 한다.
4) 코일의 입출구 온도차는 5℃로 한다.
5) 냉.온수코일의 경우 냉수코일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2) 코일 선정시 알아야 될 것
1) 습면보정계수
냉방시 코일에 닿는 공기의 온도가 노점온도가 되어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때, 이슬이 맺힘에 따른 열관류율 변화를 보정해주기 위해 구해야된다.
(값을 구했다면 열관류율값에 그대로 곱해주면 된다.)
(입구공기 노점온도 - 입구수온) 과 (입구공기 건구온도 - 입구수온) 값을 알면
표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2) 열관류율
튜브 1개당 통과되는 수량이 많을수록, 통과풍속이 높을수록 열관류율은 높아진다.


열관류율 K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관 내부 유체의 열통과계수, 관 외부 공기의 열통과계수, 관의 열전달계수를 알아
야 된다. 이때, 관 내부 유체의 열통과계수는 유체가 관에 얼마나 닿아있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실험값이 필 요하다.
3) 튜브 내 물의 유속
물의 유속 = 수량 ÷ ( 냉수관 내부 단면적 × 서킷수 × 단수 )
4) 코일의 정면면적
코일의 단수를 정하면 그에 따른 유효높이가 정해지고, 주변 상황에 맞게 유효길이를 정해주면 코일의
정면면적을 구할 수 있다.
5) 코일의 열수
Q = K×A×LMTD 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A = 코일의 정면면적 × 코일의 열수이다.)
(3) 냉.온수 코일 선정 순서
코일 선정이란건 코일의 정면면적, 열수, 코일의 단면적, 유효높이, 유효길이를 정하는
것이다.
1) 먼저 풍량과 풍속을 이용해 코일의 정면면적을 구한다 (정면면적=풍량÷풍속)
풍량은 공조기 선정시 정한다.
풍속은 2~3m/s로 둔다.
2) 공조기의 크기에 따른 단수를 구한다.
3) 코일의 정면면적과 단수에 따른 가로,세로길이를 구한다.
위의 표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4) 냉수량과 수속을 이용해 관의 내경을 구한다.
냉수량은 Q=mCT를 이용해 구한다.
(Q : 냉각열량. 공조기 선정시 구해짐.)
(m : 수량)
(C : 물의 비열은 1)
(T : 코일 입출구 온도차. 일반적으로 5도씨)
5) 습면보정계수를 구한다.
입구공기 노점온도, 입구공기 건구온도, 입구수온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6) 코일의 열수를 구한다.
Q = K×A×LMTD×w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Q : 냉각열량)
(K : 열관류율. 튜브1개당 수량 또는 수속을 이용해 구한다.)
(LMTD : 대수평균온도차)
(w : 습면보정계수)
(A = 코일 정면면적 × 코일의 열수)
- Total
- Today
- Yesterday
- 난방도일
- 냉방도일
- 탄산가스 함유율
- 코일의 각종 수로 방식
- 설계용 외기조건
- 무비블록
- PMV
- 덕트 설계
- 내벽 결로 방지
- #신유효온도
- 지텔프 모의고사
- 지텔프 문제유형
- 코박토큰
- 김경익
- 저위발열량
- 연료비 산출
- 솔루엠
- 표준유효온도
- 최근 주가를 보면 단기적으로 오를듯
- 꿀땅콩
- 지텔프 공략
- 판도리티비
- 설계용 내기조건
- 유효온도
- 대수평균온도차
- 습면보정계수
-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 전력그리드
- 일산화탄소 허용 기준
- 수정유효온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