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코일의 각종 수로방식과 공조기용 코일의 종류

 

 

(1) 코일 선정시 일반사항

   1) 코일의 정면풍속은 2.0~3.0m/s로 한다. (온수코일의 경우 2.0~3.5m/s)

      냉수코일의 풍속이 2.5를 초과할 경우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한다.

   2) 관내의 유속은 1.0m/s 전후로 둔다.

   3) 공기와 물의 방향은 대항류로 한다.

   4) 코일의 입출구 온도차는 5℃로 한다.

   5) 냉.온수코일의 경우 냉수코일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2) 코일 선정시 알아야 될 것

   1) 습면보정계수 

      냉방시 코일에 닿는 공기의 온도가 노점온도가 되어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때, 이슬이 맺힘에 따른 열관류율 변화를 보정해주기 위해 구해야된다.

      (값을 구했다면 열관류율값에 그대로 곱해주면 된다.)

      (입구공기 노점온도 - 입구수온) 과 (입구공기 건구온도 - 입구수온) 값을 알면

      표를 이용해 구할 수 있다.

     

   2) 열관류율

      튜브 1개당 통과되는 수량이 많을수록, 통과풍속이 높을수록 열관류율은 높아진다.

     

더보기
수속에 따른 열관류율
튜브 1개당 수량에 따른 열관류율

      열관류율 K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관 내부 유체의 열통과계수, 관 외부 공기의 열통과계수, 관의 열전달계수를 알아

      야 된다. 이때, 관 내부 유체의 열통과계수는 유체가 관에 얼마나 닿아있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실험값이 필        요하다.

 

   3) 튜브 내 물의 유속

      물의 유속 = 수량 ÷ ( 냉수관 내부 단면적 × 서킷수 × 단수 )

      

   4) 코일의 정면면적

      코일의 단수를 정하면 그에 따른 유효높이가 정해지고, 주변 상황에 맞게 유효길이를 정해주면 코일의

      정면면적을 구할 수 있다.

   5) 코일의 열수

      Q = K×A×LMTD 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A = 코일의 정면면적 × 코일의 열수이다.)


(3) 냉.온수 코일 선정 순서

 코일 선정이란건 코일의 정면면적, 열수, 코일의 단면적, 유효높이, 유효길이를 정하는

 것이다.

   1) 먼저 풍량과 풍속을 이용해 코일의 정면면적을 구한다  (정면면적=풍량÷풍속) 

       풍량은 공조기 선정시 정한다.

       풍속은 2~3m/s로 둔다.

   2) 공조기의 크기에 따른 단수를 구한다.

   3) 코일의 정면면적과 단수에 따른 가로,세로길이를 구한다.

       위의 표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4) 냉수량과 수속을 이용해 관의 내경을 구한다.

       냉수량은 Q=mCT를 이용해 구한다.

        (Q : 냉각열량. 공조기 선정시 구해짐.)

        (m : 수량)

        (C : 물의 비열은 1)

        (T : 코일 입출구 온도차. 일반적으로 5도씨)

   5) 습면보정계수를 구한다.

       입구공기 노점온도, 입구공기 건구온도, 입구수온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6) 코일의 열수를 구한다.

      Q = K×A×LMTD×w를 이용해 구하면 된다.

       (Q : 냉각열량)

       (K : 열관류율. 튜브1개당 수량 또는 수속을 이용해 구한다.)

       (LMTD : 대수평균온도차)

       (w : 습면보정계수)

       (A = 코일 정면면적 × 코일의 열수)

 


   

 

반응형